ⓒ(주)누리 픽쳐스, All Right Reserved

 



 

감독 : 안소니 디블라시
출연 : 잭슨 래스본(스테판 역), 숀 에반스(퀘이드 역), 핸느 스틴(셰릴 프롬 역), 로라 도넬리(애비 역), 조나단 레드윈(조슈아 쇼 역) 
요약정보 : 공포, 스릴러 | 영국 | 94 분 | 개봉 2009-12-03 |
제작/배급 (주)누리 픽쳐스(배급), (주)누리 픽쳐스(수입)

 



메가박스의 유럽영화제 심야이벤트 미드나잇익스프레스에서 소개되었던 클라이브 바커 감독의 소설을 원작으로한 공포 영화가 2편 개봉, 상영 중이다.
그 한 편은 지난 포스팅에서 소개한 '북 오브 블러드'이며 나머지 한 편은 오늘 이야기 할 '드레드'이다.
두 영화 모두 메가박스 코엑스 점에서만 상영되고 있기 때문에 관람에 조금 수고를 해야 했다.

앞선 포스팅에서도 언급했지만 클라이브 바커는 영화 감독이면서 소설가이다.
그의 공포 소설은 좋은 성적을 거두었고 그 힘을 빌어서인지 그의 소설을 원작으로한 영화가 자주 등장한다.

원작 소설을 읽어 보지 않아서 어떠했는지 알 수 없으나...
지난 포스팅에서 소개했던 '북 오브 블러드'는 많이 실망스런 영화였다.
꽤 괜찮은 소재를 가지고도 그에 미치지 못하는 엉성한 영화라는게 개인적인 평가다.
그래서 '드레드'도 좀 불안한 마음이 있었다.

하지만 감독이 다르고 배우도 다르니 다시 한 번 기대를 해본다.
근데...'드레드'의 감독인 안소니 디블라시는 이번 영화가 첫 영화인 것 같다.


ⓒ(주)누리 픽쳐스, All Right Reserved



공포...두려움에 대한 보고서...

이야기의 시작이 상당히 흥미롭다.
두 명의 남자 대학원생(스테판과 퀘이드)이 우연한 만남을 통해 학기말 과제를 함께 하게된다.
그런데 그 과제의 주제가 공포이며 그것을 두려움에 대한 다큐멘터리로 제작한다.
실제 영화에서는 여러 사람들이 나와서 자신의 두려움에 대해 독백을 하는 화면을 볼수 있다.

그런데 재밌는 사실은 사람들이 두려워하는 것을 카메라에 담고 있는 3명의 남녀 주인공, 자신들도 스스로 극복하지 못한 공포를 하나씩 내제하고 있다는 것이다.
스테판(잭슨 래스본 분)은 교통사고로 인한 형의 죽음으로 운전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
셰릴(핸느 스틴)은 어릴적 아버지에게 당한 육체적 고통의 기억으로 육식을 하지 못한다.(아버지가 정육점에서 일한 것으로 설정된다.)
퀘이드(숀 에반슨)는 부모님이 살해당하는 것을 목격한 후 밤마다 악몽에 시달리고 이를 위해 약물에 의존해서 살아가고 있다.

어째든 인터뷰를 하는 사람들은 물론 그것을 실행하고 있는 세 사람의 공포가 들어나면서 그것의 극복과 그렇지 못함이 표출되어진다.

'드레드'에서는 초월적인 존재가 등장하지 않는다.
그러니깐 '북 오브 블러드' 처럼 죽은 자들의 혼령이 나오지도 않고 '미드나잇 익스프레스' 처럼 사람을 먹는 괴물이 등장하지도 않는다.
전적으로 인간 내면의 두려움이란 감정을 가지고 처음부터 끝까지 공포스러운 분위기를 조장한다.
개인적으로는 직접적으로 귀신이 등장하고 초인적인 살인마가 등장하는 것 보다 이런 식의 공포물을 더 선호한다.
이런 형태는 잘만 만든다면 아주 고급스런 스릴러 영화가 된다.


ⓒ(주)누리 픽쳐스, All Right Reserved



드레드는?

그런데...'드레드'는 나에게 그리 인상 깊은 공포를 제공해 주지 못했다.
이 영화를 본 다른 분들은 리뷰에서 상당히 좋은 평가를 하고 있다.
소재의 독특함과 들춰지는 공포에 대한 인간 내면의 이야기에 높은 점수를 주고 있었다.
그리고 '북 오브 블러드'와는 달리 높은 평점을 주었다.

개인적으로 '드레드'가 확실히 '북 오브 블러드' 보다는 잘만든 영화라고 생각되어진다.
혹 두 영화중 한 편만 보려는 사람이 있다면 '드레드'를 추천하고 싶다. 
하지만 두 영화의 비교를 떠나서 '드레드'만 보았을 때 어떤 매력을 가지고 있는지 잘 판단이 서지 않는다.
'북 오브 블러드'와 마찬가지로 '드레드' 역시 상당히 괜찮은 소재인데 그것을 그다지 잘 풀어내지는 못한 듯한 느낌을 받는다.

결국 악역이 되어버린 퀘이드에게서 섬뜩할 만한 공포감이 느껴지지는 않는다.
무섭다기 보다는 짜증나는 캐릭터라고 말하는게 더 어울릴것 같다.
그리고 퀘이드가 갑자기 왜 정신나간 살인자가 되어지는지도 명확하지 않다.
실제 영화에서 퀘이드가 죽이는 사람은 딱 한 사람이다.


ⓒ(주)누리 픽쳐스, All Right Reserved



종합적으로...

'드레드'는 공포, 스릴러 물로써 그렇게 큰 공포감을 주지는 않았다.
독특한 소재와 중간 중간 전개는 꽤 괜찮은 부분이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공포물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드라마 같은 느낌을 받았다.
인간 내면의 공포를 언급하면서 뭔가 철학적인 이야기가 나올 것만 같았지만 두려움을 나타내기만 했을 뿐 뒷감당은 하지 못하고 있다.

문든..
'북 오브 블러드'도 그렇고 '드레드'도 그렇고 원작 소설을 읽어 봐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소재도 괜찮고...
거기다가 소설이 나름의 성공을 거두었다는데...
소설에서는 영화로 표현되지 못한 매력을 느낄 수 있지 않을까...







우려했던 대로...
영화 관람료가 메가박스 인상 이후 줄줄이 인상되게 되었다.

<관련기사보기 - 조이뉴스24>

메가박스에 이어 롯데시네마가 인상을 발표하더니 씨너스까지 인상한다고 한다.
오는 7월 1일 부터 메가박스와 마찬가지로 각 1000원씩 관람료가 오른다.
멀티플랙스 업계 1위인 CGV는 별 말이 없지만...

이대로라면 CGV역시 인상을 불가피하지 않을 지...

갑자기 슬퍼진다...



<사진 - 메가박스 코엑스점>

한국의 대표적 멀티플랙스 극장인 '메가박스'가 26일 부터 영화관람료를 전체적으로 1000원씩 인상한다.

이렇게 되면...
성인 기준 평일(월, 화, 수, 목) 관람료가 기존 7000원에서 8000원으로 주말(금, 토, 일) 관람료는 8000원에서 9000원이 된다.
뿐만아니라 조조관람료 역시 인상 되어 기존 4000원에서 5000원으로 오르며 평일 중고생 요금 또한 6500에서 7000원으로 변경된다.
그리고 어린이 요금이 신설되어 만 4세부터 초등학생까지의 관람료를 6000원으로 정하고 있다.

지난 8년간 영화관람료의 인상이 없었는데 이번에 메가박스에서 그 총대를 메고 관람료 인상을 단행한다.

개인적으로 메가박스를 자주 가는 편은 아니다.
직접 영화를 관람했던 곳도 코엑스점신촌점 두 곳 밖에 되지 않는다.


<사진 - 왼쪽부터 코엑스, 신촌점>

하지만 우려 되는 부분은...
이번 조치로 인해 타극장의 요금 또한 동반인상의 효과를 가져오지 않을까하는 것이다.
당장이야 그렇지 않겠지만 메가박스의 요금 인상에도 불구하고 관람객의 수가 줄지 않는다면 다른 극장, 특히나 동일선상의 멀티플랙스 영화관(CGV, 롯데시네마 등...)은 똑같은 조치를 취하지 않을 지...


이번 메가박스의 요금 인상은 전 세계적인 화제작 '트랜스포머 - 패자의 역습'의 개봉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의구심을 갖게한다.
그도 그럴 것이...
정작 트랜스포머의 배급사인 CJ보다도 더 많은 스크린을 메가박스에서 차지하고 있다는 거다.
일단 그렇게하고 그 이후에 상황을 봐서 또 다른 조치를 생각하고 있는 것은 아닐지...
당연히 본인들(메가박스 관계자)은 그것과는 상관없는 조치라고 말을 한다.

메가박스 관계자는 극장관람료 인상은 내부적으로 꾸준히 제기되어온 문제이며 최근 전 상영관에 디지털 시네마 시스템을 도입했고, 물가상승률과 인건비 상승 등을 고려했을 때 관람료 인상을 결정한것이라 밝히고 있다.

하지만 이 말을 그대로 다 받아드릴 수는 없는 것이고...

앞서 말한대로...
이번 조치는 8년 만의 것이다.
어떻게 보면 지금까지의 물가상승분이나 국민소득의 향상으로 보았을 때 당연한 조치처럼 보일 수 있다.
하지만 꼭 그렇지도 않다.

그러니깐 그 전과는 상황이 다른 측면이 있다는 거다.
2006년 이후로 이동통신사의 영화관람료 후원이 없어지면서 그것은 고스란히 관객들의 몫으로 넘어갔다.
한국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핸드폰을 사용하고 있고 영화를 보는 모든 이들이 한달에 한 번이던 두 번이던 그것의 혜택을 받았었는데 그것이 폐지되면서 벌써 요금인상의 효과는 있었다고 봐야한다.
물론 영화관의 직접적인 수익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관객의 입장에서는 말이다.

또한...
금요일 요금에 대해서도 문제가 있다.
금요일 요금은 주말 요금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엄밀히 말해서 금요일은 주말이 아니다.
토요일에 근무를 하지 않는 직장이 많아지면서 어느덧 옛날의 토요일과 같은 느낌으로 금요일이 받아드려 지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들에게 금요일은 평일일 뿐이다.

주말 요금이 평일보다 비싼이유는 그때 사람들이 몰리기 때문일텐데...(데이트하는 연인들, 주말 휴일을 맞아 영화를 보는 이들 등등...)
주말 요금과 평일 요금을 차별화하여 분산을 시도하는 모양세를 보이지만...
그 효과역시 의문이고 효과를 떠나 극장 관계자들이 변명으로 밖에 생각되어지지 않는다.

영화 관람료를 10년이고 20년이고 절대 올려서는 안된다는 말이 아니다.
그 시기에 있어서 지금이 적절하냐는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다.
나라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경제가 힘든 마당에 8년 전이나 지금이나 영화비 7~8천원의 느낌이 그다지 변하지 않고 있는데...
다른 것도 아닌 국민들의 문화적인 컨텐츠에 해당하는 영화비를 이렇게 대책없이 인상한다는 것은 좀 아니지 않나 싶다.

아...물론...예전에 한 번 말했던 것 처럼 극장 관계자 들이야 사업가니깐 국민들의 문화적 소양이니 뭐니 이딴거 신경도 안쓰겠지...

어째든...
영화관람료의 인상은 결코 사회적으로 작은 일이 아니므로(지금의 한국 상황에서는...) 좀 더 신중하게 생각하고 결정해야 한다고 본다.
또한 꼭 그렇게(관람료 인상)해야 한다면 그에 따른 대책(이통사의 보조 재개, 할인 혜택 확대 등등)도 세워야 하는게 아닐지...

음...
좀 있으면 '트랜스포머 - 패자의 역습'을 관람하러 공항CGV에 간다.
조조로 예매를 해 놓았다.
어쩌면 영화관에서 영화를 보는 일이 점점 더 줄어 들지 않을지...

+ Recent posts